1. 학비와 생활비, 고공행진 중…유학생 예산 부담 가중
최근 캐나다 유학 비용이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2024~2025학년도 기준 국제 유학생 학부 과정 평균 연간 학비는 CAD 40,000 이상, 대학원 과정은 CAD 23,000 이상으로 전년 대비 약 5% 상승하였습니다. 공립 중·고교 영어권 유학의 경우도, 홈스테이 포함 CAD 9,500~17,000이던 연간 학비가 물가와 환율 상승 영향으로 CAD 10,000~18,000 선까지 올라가고 있습니다 .
생활비 또한 함께 상승하고 있습니다. 2024년 캐나다 전체 인플레이션은 약 6% 수준을 기록했으며, 주요 도시(토론토·밴쿠버)의 월세와 식료품 가격이 눈에 띄게 상승했습니다 . 특히 토론토와 밴쿠버의 1베드룸 아파트 평균 월세는 전년 대비 10% 이상 상승하였으며, 캘거리와 할리팩스는 각각 20%, 14% 상승했습니다 .
이러한 학비·생활비 상승은 유학생과 학부모의 예산 재조정을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수요가 회복되며 집값·임대료 급등이 이어진 가운데, 정부는 유학생 비자 심사 기준에 포함된 최소 생활비 증빙 기준을 CAD 20,635로 상향 조정하였으며, 2025년 9월부터는 CAD 22,895로 또다시 인상될 예정입니다 .

2. 생활비 증빙 기준 상향…비자 준비 부담도 증가
2024년 1월 캐나다 정부는 국제학생의 생활비 증빙 기준을 기존 CAD 10,000에서 CAD 20,635로 대폭 인상하였습니다. 이는 통계청 저소득 기준(LICO) 수준에 맞춘 조치로, 학비와 항공비 등 외에 학생에게 최소한의 생활비가 안정적으로 보장되도록 하기 위한 방침입니다.
하지만 2025년 9월부터는 최소 생활비 기준이 다시 CAD 22,895로 상향됩니다. 1인 기준 생활비만으로도 약 CAD 2,260이 추가된 셈이며, 가족 동반 시 부담은 더욱 커집니다. 이에 따라 실제 유학 예산은 초기 예상보다 20~30% 이상 증가하고 있어, 예비 유학생과 학부모들의 재정 계획에도 큰 영향이 생기고 있습니다.
비자 취득 시 재정적 요건이 강화되면서, 무계획 유학보다는 정확한 예산 계획 및 장기 자금 조달 전략이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 유학 컨설턴트는 “학비·생활비·예비비를 합한 총 필요 예산은 과거 대비 평균 CAD 10,000 이상 늘었으며, 여기에 환율 리스크까지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3. 환율 변동과 물가 상승…예산 조정 전략 필요
캐나다 달러는 2022~2024년 사이 평균 USD 대비 25% 절상된 경향을 보였습니다. 환율 상승은 학비뿐 아니라 생활비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CAD가 강세일 때는 같은 비용이라도 한화 환산 시 부담이 커지며, 온라인 송금 수수료와 환전 손실도 고려해야 합니다.
식료품·교통비·인터넷·공과금 등 생활비 항목 역시 고소비 재화 중심으로 **물가상승률이 연평균 6~10%**에 달하고 있습니다 . 특히 대도시의 월세 상승이 발목을 잡고 있어 안정된 재정 확보 없이는 유학 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실제 일부 국제학생들은 “최소 20시간까지 합법적으로 아르바이트해도 생활비 부담이 여전히 크다”며 월세, 학용품, 식비 등에서 과도한 지출을 경험하고 있다 .
이에 대비해 유학생은 정규 학비 외에 ‘여분 예비비(CAD 3,000~5,000)’를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환율 하락일 때 송금을 분할해 리스크를 분산하거나, 비교적 물가가 낮은 도시(뉴펀들랜드, 매니토바 등) 선택도 예산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
결론: 철저한 예산 전략 없이는 유학 리스크 커진다
캐나다 유학은 학비뿐 아니라 생활비, 환율, 물가 상승 등 복합 요인이 예산에 영향을 주며, 과거보다 전체 유학비용이 20~30% 이상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생활비 증빙 기준이 CAD 22,895까지 오르며, 비자 준비 과정에서 ‘재정 건전성’이 중요한 심사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예비 유학생과 학부모는 아래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 전체 예산 계획: 학비·기숙사비·식비·교통비·보험 포함, 예비비 확보
- 환율 분할 송금: 강세 달러 대비 환율 리스크 분산
- 도시 및 기관 선택: 물가·학비가 비교적 낮은 지역 우선 고려
- 비자 증빙 준비: 증빙 자산 + 소득 증빙, 환율 기준 포함